로그인 회원가입

  • 처음으로
  • 지이 갤러리
    • 자연
    • 일상
    • 접사
  • 강촌 갤러리
    • 자연
    • 일상
  • 자유 갤러리
  • 포토에세이
  • 사랑방
  • 다락방
    • 사진
    • 문학
    • 요리
    • 지이
    • 강촌

지이 갤러리 (자연)

글 수 825
  • 회원 가입
  • 로그인
  • Skin Info
  • Tag list
  • List
  • Webzine
  • Gallery

나물캐는 사람들

지이
http://sostera.com/xe/6992
2010.04.25 00:02:06 (*.198.151.144)
9725


..
이 게시물을...
  • p1004233294_2.jpg (286.9KB)(21)
목록 수정 삭제
삭제 수정 댓글
2010.05.04 10:36:33 (*.72.168.17)
지혜
이 정도의 여유는 맘만 먹으면 금방이라도 가질 수 있는 일인데......, 맘 먹는 일이 참 그러네요.
삭제 수정 댓글
2010.05.04 10:59:17 (*.103.83.39)
지이
바쁘셔서 그럴 겁니다.
사실 맘먹기도 힘들지요. 저는 나물캐는 사람들 사진찍지, 나물은 캐기가 좀 그래요.
사먹는 게 편안하다는 걸 알기에요.
봄이면 나물캐는 사람이 예쁘긴 해요.
삭제 수정 댓글
2010.05.04 12:11:58 (*.72.168.17)
지혜
친구들이 나물 캘 때 저는 바위에 앉아 온갖 동요를 다 불렀어요.
산 위에서 내려오는 바람, 들녘 어딘가에서 시작된 바람,
그 바람을 느끼며 부르는 노래는 나물캐는 일보다 훨씬 재밌었어요.
제 친구들은 또 참 착했어요.
옆구리에 매 단 제 빈 다래끼에 지들이 뜯은 나물을 아깝잖게 한 줌씩 넣어 줘서
빈 다래끼로 돌아왔던 적이 한번도 없었거든요.
참 지이님 다래끼가 뭔지 아세요?
이게 표준말인지 사투리인지 잘 모르겠는데 싸리나무처럼 가는 나무를 쭉쭉 갈라서
엮은 거예요. 바구니처럼 옆으로 퍼진 모양이 아니고 오망하게 생겨서
다래끼 입구 둘레에 헝겊끈을 끼워서 허리에 맬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예요.
누에를 칠 때 뽕을 따는 다래끼는 크고 아이들이 나물을 캐 담을 수 있는 다래끼는
적당하고 예쁘장하답니다.
저 어릴 때 다래끼, 멍석, 삼태기, 맷방석, 가마니, 짚자리, 왕골자리, 다 집에서 만들었어요.
우리 집은 할아버지께서 유유자적, 풍류와 멋을 따라 사시는 분이어서
할아버지 몫까지 억척스럽게 사셨던 할머니가 그 일을 다 해내셨어요.
물론 어린 저희들도 그 일을 거들어 드렸구요.
아~!!!
그때 일을 생각하니 갑자기 그리워지고 그때를 다시 살고싶어지네요.
저 이제 본정신 돌아온 것 맞죠 지이님? ㅎ~
삭제 수정 댓글
2010.05.04 14:30:09 (*.103.83.39)
지이
그렇군요.
지혜님이 많이 힘들어하셨군요.
아까운 아들들을 차가운 바다에 수장한 부모의 마음이 얼마나 참담했겠습니까?
정말 가슴아픈 일입니다.
한 민족이, 이념때문에 총부리를 겨냥하면서 살아간다는 일이 새삼 북받치는 일입니다.
다래끼는 처음 들어봤어요.
눈다래끼는 들었는데, ㅎㅎ
다래끼 들고 아이들이 나물캐러 가는 것 참 이쁠 것 같아요.
정말 한 폭의 사진감이겠는데요.
옛날 할아버지들 조금 살만하면, 대부분 선비처럼 유유자적이셨지요.
그에 반해 할머니들은 그야말로 억척같이 살아야했고요.
저의 할머니도 그러셨어요.
그때는 아이들도 7-8명은 여사고, 어려운 시기였으니, 얼마나 여자들이 힘든 시기였을까요?
아마도 가시고기와 같았을 거라는 생각이 듭니다.
지혜님하고 이런 이야기 하루종일 해도 모자랄 것 같네요.
이제 본정신 돌아온 것 맞습니다. 쾅쾅~쾅
삭제 수정 댓글
2010.05.04 17:50:34 (*.72.168.17)
지혜
ㅎㅎㅎ~
그래요.
그러고보니 본정신 나간정신 다 제 안의 일이었군요.
영혼이 떠난 아버지의 몸을 보면서 삶과 죽음이 다르지 않구나 했었는데
제 주변에서 일어난 동시다발적인 일들로 인해 제가 좀 콱~ 막혀 있었나봐요.

에이~ 바보~ 멍청이~!!!!

저도 다래끼를 찾아보니 눈다래끼만 줄줄이 뜨네요.
아무래도 강원도 사투리였던 것 같네요.
조회 수 추천 수 날짜 최근 수정일
공원
지이
2010.08.15
조회 수 4835
공원
지이
2010.08.15
조회 수 4760
기생초가 있는 강 (2)
지이
2010.07.04
조회 수 9287
아침
지이
2010.07.04
조회 수 4380
우리 집 (2)
지이
2010.06.24
조회 수 8713
까꿍
지이
2010.06.24
조회 수 4264
꽃동산 (4)
지이
2010.06.24
조회 수 12190
봄 색 (2)
지이
2010.06.03
조회 수 12262
주남저수지
지이
2010.05.05
조회 수 4445
할미꽃 (3)
지이
2010.04.25
조회 수 13279
서운암 (4)
지이
2010.04.25
조회 수 13255
연륜 (4)
지이
2010.04.25
조회 수 12718
소나무 (4)
지이
2010.04.25
조회 수 12610
조팝나무 (5)
지이
2010.04.25
조회 수 9381
나물캐는 사람들 (5)
지이
2010.04.25
조회 수 9725
유채밭
지이
2010.04.24
조회 수 4394
꽃밭에서 (3)
지이
2010.04.11
조회 수 9231
매화마을 (2)
지이
2010.04.11
조회 수 9407
봄 (4)
지이
2010.03.29
조회 수 12052
돌다리
지이
2010.03.07
조회 수 4390
목록
쓰기
첫 페이지 5 6 7 8 9 10 11 12 13 14 끝 페이지
검색 취소